헌법재판소(헌재)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와 관련해, 국민 10명 중 7명은 결과와 관계없이 수용하겠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화와 통합을 통한 갈등 해소, 정치 제도 개혁 등이 탄핵 선고 후 가장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꼽혔다.
또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정당지지도 조사에선 양당이 나란히 소폭 하락했다.
이는 경제적 불안정이 심화되는 가운데, 여야가 탄핵 국면에서 정치적 공세에만 집중하며, 민생 현안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을 소홀히 한 결과로 보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4월 1주차 주간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대한 수용 의향 여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76.9%가 '수용' 의사를 밝혔다.
‘전적으로 수용할 것’이란 응답 53.1%, ‘어느 정도 수용할 것’이란 답변 23.8%를, 모두 합친 수치다.
반면,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17.4%(전혀 12.2%+별로 5.2%)에 그쳐, 두 의견 간 차이는 62.2%포인트(p)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선고 이전인 지난 2일부터 시작해 선고 당일인 4일 오후 늦게까지 진행됐다. 선고 전과 후를 나눠 살펴보면, 선고 전인 2~3일 조사(1013명)에서는 수용 응답이 79.7%, 불수용 응답은 12.9%였다.
그러나 탄핵이 인용된 4일 조사(503명)에서는 수용 의견이 71.2%로, 8.5%p↓하락했고, 불수용 응답은 26.5%로, 13.6%p↑늘어났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지지층과 보수 측 인사들이 ‘4:4 또는 5:3으로’ 기각 또는 각하 될 것이란 정보가 나돌았던 만큼 보수 지지자들 사이의 반발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지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내에서의 86.5%,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의 65.5%가 헌재의 선고 결과에 대해 수용했다.
무당층의 경우, 수용(65.1%) 응답 비율이, 미수용(15.8%)보다 높았다.
이념성향과 무관하게 보수, 중도, 진보 성향 모두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는 의견이 60%를 상회했다.
또 우리 국민은 탄핵심판 이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와 국민 통합 노력'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대한민국이 정치적으로 안정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치는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와 국민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25.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통령제 개편 및 국회 권한 조정 등 정치 제도 개혁’이 24.6%, ‘여야 간 협치를 강화하여 국정 운영 정상화’가 22.0%로, 오차범위(±2.5%P) 내에서 20%대의 비슷한 응답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12.3 비상계엄 및 탄핵 사태에 대한 윤 대통령 또는 이재명 대표의 책임 인정과 공식 사과’가 17.6%로 조사됐다. ‘기타 또는 잘 모름’응답은 10.0%였다.
‘정권 교체론’은 60대, 호남 내에서 ‘정권 연장론’은 충청권·TK, 20·30·40대 내에서 하락 폭 이 다소 컸다.
중도층 내에서는 정권 교체론(65.7%)이 정권 연장론(29.6%)보다 2배 이상 우세했다.
지지 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의 90.9%가 정권연장론에, 민주당 지지층 내에서의 95.5%는 정권교체론이 매우 강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연장(21.2%) 보다, 정권교체(47.5%) 의견이 앞섰다.
이념성향별로 보수층 내에서의 74.6%가 정권연장을, 진보층 내에서의 92.5%는 정권교체를 기대했고, 중도층 내에서는 정권연장(29.6%)보다 정권교체(65.7%) 쪽이 많았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야권 정권 교체’ 여론이 여전히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탄핵 정국의 장기화와 여야 간 극한 대립으로 인해 정치적 혼란과 국민적 피로감이 확산되면서 양측 지지율이 모두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번 조사는 탄핵 선고 마지막 날의 결과만 반영된 것이므로, 여론조사 전반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기에 탄핵 결정에 따른 민심 변화는 다음 주 조사에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 정당지지도 조사에선, 민주당은 2.5%P 낮아진 44.8%, 국민의힘도 0.4%P 낮아진 35.7%를 기록했다. 양당 간 차이는 9.1%포인트로 좁혀졌다.
다음으로, 조국혁신당은 1.5%P 높아진 5.2%, 개혁신당은 1.0%P 높아진 3.3%, 진보당은 0.2%P 높아진 1.2%, 기타 정당은 0.0%P 변동없는 1.7%를 기록했다.
무당층은 0.3%P 높아진 8.2%로 조사됐다.
국민의힘은 대구·경북(7.1%P↓, 50.7%→43.6%), 대전·세종·충청(5.1%P↓, 42.6%→37.5%)에서 하락했고, 광주·전라(4.6%P↑, 19.3%→23.9%), 부산·울산·경남(4.2%P↑, 40.7%→44.9%), 서울(2.7%P↑, 31.3%→34.0%)에서는 상승했다. 김상태 기자
[일간경북신문=일간경북신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