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제철소·철강공단 생산 ‘동반 감소’..
경북

포항제철소·철강공단 생산 ‘동반 감소’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5/04/08 17:24 수정 2025.04.08 17:28
한국은행 포항본부 발표
2월 경북 동해안 제조·수산
서비스업 전년 동월 보다 감소
수출·수입·설비·건설투자↓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뚝’

경북 동해안지역의 2월중 실물경제는 포항제철소와 포항철강공단 생산량이 동반 감소하는 등 저조한 분위기이다.
한국은행 포항본부에 따르면, 2025년 2월중 포스코(포항제철소 기준)의 조강생산량(100.5만톤)이 전년동월대비 10.1% 감소했다.
포스코 전체 조강생산량(264.0만톤)은 7.5% 감소(포항 -10.1%, 광양 -5.8%)했다.
특히 포항제철소의 경우 2023년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한 113만7천톤에 이어 2024년 1.6% 감소한 111만8천톤, 2025년 10.1% 감소한 100만5천톤으로 3연속 감소한 모습이다.
2025년 2월중 포항철강산단 생산액(1.1조원)은 전년동월대비 18.2% 감소했다. 1차금속(-25.0%), 조립금속(-9.0%) 및 비금속(-8.0%)이 감소했으나 석유화학(+17.3%) 등은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경주 자동차부품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1.9%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경주보문단지 숙박객수(10.9만명)는 전년동월대비 32.4% 감소했다. 내국인 관광객(-33.5%)이 감소했으나 외국인 관광객(+11.5%)은 증가했다. 숙박유형별로는 콘도 및 리조트(-53.3%)가 크게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울릉도 관광객수(0.6만명)는 전년동월대비 25.3% 감소했으며, 포항운하 방문객수(-25.2%)와 포항운하크루즈 탑승객수(-27.3%)도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경북동해안지역 방문객수(31.9만명)는 전년동월대비 8.7%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경북동해안지역 수산물 생산량(0.5만톤)은 전년동월대비 8.3%감소했다. 품종별로는 갑각류(-29.6%) 등이 감소했으나 어류(+13.6%)가 증가했다. 수산물 생산액은 전년동월대비 16.8%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경북동해안지역 수출은 8.3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9.0%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철강금속제품(-5.0%)과 화학공업제품(-23.1%)이 감소했지만, 기계류(+2.6%)는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포항(-10.2%)과 경주(-2.6%) 모두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경북동해안지역 수입은 7.6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8.6%감소했다.품목별로는 철강금속제품(-36.3%)과 화학공업제품(-50.7%)이 감소했으나, 광산물(+53.6%)은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포항(-35.9%)은 감소했으나 경주(+369.6%)는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포항·경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요 중대형유통업체 판매액이 전년동월대비 17.8%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식료품(-17.2%), 의복·신발(-11.4%) 등 전 품목이 감소했다.
2025년 2월중 포항·경주지역의 승용차 등록대수는 전년동월대비 35.1% 증가했다. 승용차 등록대수(해당월 등록대수 - 전월 등록대수)는 ‘24.2월 704대이고 ’25.2월 951대(+35.1%)이다.
설비투자 지표인 자본재 수입액이 전년동월대비 감소했으며, 건설투자 지표인 건축허가면적은 감소했으나 건축착공면적은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자본재 수입액(15.9백만 달러)이 전년동월대비 53.2% 감소했다. 제조업 설비투자 BSI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건축허가면적(6.0만㎡)이 전년동월대비 58.2% 감소했으나 건축착공면적(3.9만㎡)은 320.9% 증가했다.
2025년 2월중 아파트 매매가격은 포항(-0.3%)과 경주(-0.1%)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다. 아파트 전세가격도 포항(-0.2%)과 경주(-0.1%)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다.
2025년 2월중 포항·경주지역의 아파트 등 주택매매 건수는 전년동월대비3.2% 감소했다. 김재원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