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북도 ‘戰火爲福’…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
경북

경북도 ‘戰火爲福’…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

이경미 기자 dlruda1824@hanmail.net 입력 2025/04/07 17:55 수정 2025.04.07 17:56
피해 5개시군 산업구조 재편
특화산업·골목상권·농공단지
관광 등 4대 분야 20개 사업
양금희 단장 민관합동 추진단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7일 언론브리핑에서 초대형 산불극복을 위한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를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산불피해의 극복이 단순히 재난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다시 만드는 것에 머무른다면 퇴행이다”며 “복구와 재건을 넘어, 지역의 미래를 재설계하는 ‘재창조’ 수준의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2조원이 넘는 프로젝트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양금희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민관합동 ‘산불극복 경제산업 재창조 추진단’을 구성하고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추진단은 특화산업, 농공단지, 골목상권, 관광산업 등 4개 분과로 나눠 운영될 예정이며 민간투자활성화를 위한 금융자문그룹과 경북연구원을 주축으로 연구지원그룹이 지원조직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우선 민간투자를 적극 유치해 의성을 중심으로 내륙지역에 총 10만평에 달하는 ‘스마트팜 클러스터’를 만들고 영덕에는 ‘동해안 스마트양식 콤플렉스’를 만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이철우 도지사는 “스마트팜과 스마트양식은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혁신적인 접근방식이다”며 “오늘 우리가 뿌린 씨앗들을 먹고 후손들은 첨단기업의 직원으로, CEO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피해를 본 헴프규제자유특구의 재배시설 복원은 물론, 원료의약품 생산을 위한 GMP시설 구축에 재정을 투입해, 헴프를 활용한 의약품 생산과 제약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지역의 농산물들이 6차산업화 될 수 있도록 ‘전통주 산업 클러스터’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전통주 위탁생산공장과 저장고 그리고 테마파크에 재정과 민자 1000억원을 투입해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피해가 막심한 남후농공단지와 영덕 제2농공단지도 ‘안전하고 스마트한 농공단지’로 만드는 시범사업을 국가에 제안해 방화시설과 소방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며, 투자기업들의 스마트공장화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붕형태양광 사업 등도 함께 지원한다.
또한 이지사는 "이제 농공단지 명칭도 바꿀 때가 됐다"며, ‘강소산업단지’로 명칭을 전환하고, 비즈니스와 주거가 복합된 커뮤니티시설과 규제샌드박스 등을 제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제대로 마련하는 연구를 통해 국가정책 혁신 모델로 만들어 가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철우 지사는 지역 골목상권은 사실상 지역경제를 견인하고 있고 골목상권이 활성화되면 지역경제가 살아난다면서, 피해를 입은 골목상권을 재창조하는 명소화 전략을 내놓았다.
우선 피해추정 금액만 100억원에 이를 정도로 피해가 심한 청송 음식테마거리(달기약수탕)를 대상으로 재건 비용은 물론 브랜드 개발과 마케팅 지원 등 재기 비용까지 종합지원하는 300억원 가량의 활성화 프로젝트를 가동할 계획이다.
영양과 의성에도 전통시장과 지역특산물을 가지고 새로운 명소를 창조한다는 입장이다. 전통시장 인근에 푸드테크 연구소 등 미식벨트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소상공인 복합지원센터 등도 만든다는 구상이다.
한편, 이철우 도지사는 “우리가 잘살아 보자는 일념으로 새마을운동을 했던 창조의 역사처럼 후손들에게 물려줄 정신적ㆍ물질적 자산들을 만드는 것이 곧 시대적 소명이다”라며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과 국가를 견인할 새로운 미래공동체가 싹 틀수 있도록 아픔을 딛고 모두 함께 준비 또 준비를 하자”고 강조했다. 이경미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