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매일 한갑씩 1년 담배피면 “발암·독성물질 36g 먹은꼴..
오피니언

매일 한갑씩 1년 담배피면 “발암·독성물질 36g 먹은꼴”

일간경북신문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4/06/03 16:05 수정 2024.06.03 16:05
금단증상 등 파악 후 대처를

담배를 하루 한 갑씩 1년 동안 피우면 제초제, 살충제, 각종 독극물 성분의 유해 물질을 초코 막대과자 한 봉지(약 36g)만큼 먹는 것과 맞먹는 것으로 파악됐다.
3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약 700만 명이 직접 흡연, 약 120만 명이 간접흡연에 노출돼 사망할 정도로 흡연은 전 세계 공중 보건을 위협하는 주요인이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흡연으로 인한 국내 사망자 수는 5만 8천여 명에 달한다.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의 필요성을 알고 있지만 담배를 쉽게 끊지 못한다.
담배를 하루 한 갑씩 1년 동안 피우면 순한 담배를 기준으로 약 36g의 니코틴, 타르 등의 유해 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제초제, 살충제, 각종 독극물 성분의 유해 물질을 초코 막대과자 한 봉지 분량 정도(36g) 먹는 셈이다.
한편, 장준용 인천힘찬종합병원 호흡기내과 과장은 “담배 연기에 포함된 유해 화학물질은 암과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 수 많은 병을 유발한다”라고 말했다.
담배와 담배 연기 성분에는 제1군 발암물질을 포함한 약 40여 종의 발암 물질과 4000여 종의 유해 물질이 포함돼 있다. 타르, 니코틴 외에도 비소, 벤젠, 산화에틸렌, 염화비닐, 베릴륨, 니켈, 1,3-부타디엔, 크롬, 포름알데히드 등의 발암 물질이 있다.
특히 흡연 시 건강에 가장 해로운 물질은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다. 니코틴은 주로 살충제, 제초제 등에 쓰이는 물질로 담배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니코틴에 중독되면 두통, 오심, 구토, 설사, 시력장애, 혈액순환 부전, 심장마비, 경련 등이 나타나는데 간접흡연으로도 영향을 받는다.
타르에는 담배를 피울 때 건강을 해치는 대부분의 독성 물질과 발암 물질이 들어있다. 담배 연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 혈액에 스며들어 세포와 장기에 영향을 주고 잇몸이나 기관지 등에는 직접 작용해 표피 세포를 파괴하거나 만성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감퇴시켜 저산소증을 일으키고 신진대사에 영향을 준다. 담배를 피운다면 적은 양의 연탄가스를 지속적으로 맡는 셈이다. 이밖에도 방부제에 쓰이는 나프틸아민, 독극물인 청산가리, 자동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카드뮴, 살충제 원료인 디디티 등 인체에 유해한 수많은 물질이 건강을 위협한다.
특히 담배 연기는 약 10m 떨어진 거리까지 유해 물질이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직접 흡연자 뿐 아니라 간접 흡연으로 주위 사람들의 건강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담배 끝이 타면서 나오는 연기인 비주류연은 불완전 연소에 가깝고 주류연에 비해 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주류연을 간접 흡연하게 되면 폐암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다양한 발암 물질이 담배 연기를 통해 호흡기로 들어가면 점막과 기관지에 침착하고 자극해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폐활량이 감소된다. 기관지염, 폐기종, 폐암 등 폐 질환을 유발하며, 구강, 후두, 인두, 식도 등의 호흡기 암 발생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흡연자는 이미 니코틴에 중독돼 금연을 결심해도 지속하기가 쉽지 않다.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초조함, 욕구불만, 분노, 불안감, 집중력 저하, 우울감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금연 성공률을 높이려면 금단증상에 대처하고 흡연 욕구를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갈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분을 충분히 섭취한다.
또 불안을 줄이기 위해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가벼운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금단 증상이 심하다면 니코틴 대체제나 부프로피온, 바레니클린 등 금연 약물요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