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철강’→ 이번엔 ‘반도체’ 관세 폭탄..
경제

‘철강’→ 이번엔 ‘반도체’ 관세 폭탄

일간경북신문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5/04/14 17:36 수정 2025.04.14 17:36
트럼프, 자국우선주의 강경
“잠 못드는 반도체 업계들”

미국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관세에 관해 오는 14일(현지 시간)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겠다고 밝힌 가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나올 지 관심을 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 시각) 대통령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 관세 문제와 관련 "월요일(14일)에 답하겠다"며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으로 현지시간 14일(한국시각 14일 늦은 밤 또는 15일 새벽)에 관련 발표가 나올 것으로 본다.
앞서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1일 반도체,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상호관세는 특정 교역 상대국이 부과하는 만큼,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트럼프 정부는 대신 이들 품목에 한해 한 달 후 품목별로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르면 외국산 수입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 대통령이 관세 부과 같은 긴급 조치를 할 수 있고,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를 적용해 철강, 자동차 등에 실제로 관세를 부과했다. 업계에선 무엇보다 반도체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관세 부과 수준이 어느 정도일지 궁금해 한다.
철강과 자동차는 이미 관세율이 25%로 확정됐는데, 반도체 등의 경우 이와 비슷한 관세율이 적용될 경우 만만치 않은 여파가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반도체 기업을 지원하고, 수입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며, 반도체 산업의 미국 우선주의를 굽히지 않을 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공급망을 다룰 국가안보 관세 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우리가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 같은 적대적인 무역 국가들이 미국 국민을 존중하지 않으려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상황에서 다른 나라들에 의해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미국의 반도체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반도체가 들어가는 전 산업군의 가격 인상과 수요 둔화가 연쇄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본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