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자율주행차 시대, 경북도가 이끈다… 167억 확보..
경북

자율주행차 시대, 경북도가 이끈다… 167억 확보

이경미 기자 dlruda1824@hanmail.net 입력 2024/05/30 16:52 수정 2024.05.30 16:52
자율 비자율 혼합상황 지원
플랫폼 기반조성 공모 선정

경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자율 비자율 혼합상황 지원 플랫폼 기반 조성’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 국비 106억 7천만원 포함 총사업비 166억 7천만원을 확보했다.
공모 사업은 2028년까지 5년간 총 166억 7천만원(국비 106억 7천만원, 도비 18억원, 구미시비 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수송 분야 미래차 융합 부품 시험평가 센터 조성 ▴미래차 협력형 정보 융합 부품 시험 평가 지원 장비(9종) 구축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사업전환 및 수송 분야 협력형 정보 융합 부품 개발지원 등 자율 주행 미래차 부품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기반 구축을 진행한다.
사업은 경북테크노파크, 한국자동차연구원,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주관연구개발기관인 경북테크노파크는 수송 분야 미래차 융합 부품 시험평가 센터 구축과 자율-비자율 차가 혼재되는 상황에서의 이동형 실도로 시설, 주행 편의성 향상 및 위협 방지 기술이 적용된 협력형 정보 융합 부품 평가 장비를 구축해 신뢰성을 확보한다.
공동 연구개발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자율주행 차량 플랫폼 활용 서비스 모델 발굴, 자율주행 실증 테스트베드 기반 자율주행 시험평가 및 실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반 자율 비자율 혼합 주행 시뮬레이션 지원과 자율주행 실습 트랙 기반 시험평가를 지원한다.
또한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는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원격 데이터 활용 환경을 구축하고, 자율 비자율 주제별 DB 및 융합서비스 머신러닝 활용 서비스 모델 등을 구축한다.
정부도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통해 2027년까지 운전자 개입이 필요없는 ‘Lv4’수준의 완전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2035년에는 자율주행 신차 보급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려 완전자율주행 대중화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자율주행차량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전 자율-비자율차량의 혼재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서 혼합상황을 고려한 주행 안전·편의성 확보 및 주행 정보 상호 교환을 통한 주행 효율성 향상이 필요한 실정이며, 해킹을 통한 임의 제어 등 공격에 악용될 소지가 있는 사이버 보안 위협 등 사고의 위험성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경북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혼합 주행 상황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장비 구축 및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도내 기업의 자율주행 관련 분야 진출 및 사업 다각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최영숙 경북도 경제산업국장은 “이번 공모사업을 통해 자율주행 미래차 부품산업 생태계로의 전환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미시장은 “자율주행 부품 산업 분야 기업의 기술 고도화 및 첨단화를 통해 관내 중견‧중소 기업들의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고부가가치의 역내 순환이 가능하도록 신산업시장을 지속 발굴‧육성하겠다”고 했다.이경미 김학전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